#넷제로 #순배출량 #야생동물보호 #트럼프기후변화 #원전 #재생에너지 둘러보기👀
188번째 레터는 넷 제로 속임수, 알고 계세요?/ 미국 야생동물 정책에 큰 변화가 다가온다 / COP29 세션 파헤치기 #10. 원전을 바라보는 시각에 대해서 알아보는 시간을 마련했어요!
🔔 COP29에서 만난 사람들 Ep.7 : 우크라이나 청년들이 말하는 전쟁이 심화시킨 환경 문제
|
|
|
첫번째 이야기 by 고래
⚠️ 넷 제로 속임수, 알고 계세요? ⚠️
"넷 제로(Net Zero)"라는 말, 얼핏 들으면 참 간단해 보여요. 우리가 배출하는 탄소량과 흡수하는 탄소량을 같게 만들어 순 배출량을 '0'으로 만들면 지구가 더 이상 뜨거워지지 않는다는 개념이니까요. 그런데 현실은 그렇게 간단하지 않아요. 그 이유는 뭘까요? 바로 2015년 세계 지도자들이 파리 협정에서 넷 제로를 약속했지만, 넷 제로의 정확한 정의와 달성 방법을 모호하게 남겨뒀기 때문이에요. 그 결과 많은 나라들이 “넷 제로"를 입맛에 맞게 해석해서, 자연재해로 인한 탄소 배출은 회계에서 제외하거나 인간이 배출한 탄소를 숲이나 바다 같은 자연의 탄소 흡수량에 의지하려 하는데요. 하지만 ‘넷 제로’라는 용어를 처음 만든 과학자들은 경고해요. 인간과 자연의 탄소 시스템을 하나로 묶어 계산하면 실제와 달리 넷 제로를 달성한 것처럼 보이는 속임수가 될 수 있다고요.
가상 국가로 본 넷 제로 착시 🔮
이런 속임수를 쓰는 가상의 나라, “이뮤 공화국”을 예로 들어볼게요. 이 나라의 “이뮤 화산”에서는 산불과 화산 활동으로 연간 약 100단위의 이산화탄소가 배출돼요. 그리고, “이뮤 열대우림”에서는 매년 약 100단위의 이산화탄소를 흡수하고, “이뮤 시민들”은 매년 100단위의 이산화탄소를 배출해요. 그런데 이뮤 공화국 정부는 화산과 산불에서 나오는 탄소는 회계에 넣지 않고, 열대우림의 흡수량만 계산해 넷 제로에 가까워지고 있다고 홍보해요. 실제로 최근 캐나다에서 발생한 산불은 캐나다 연간 탄소 배출량의 3배에 달하는 엄청난 양의 CO₂를 방출했는데도 “관리되지 않은 땅"에서 나온 배출이라서 캐나다의 넷 제로 목표 계산에서 제외됐어요. 왜냐하면 파리 협정에서는 국가들이 "관리된 땅"에서의 탄소 배출과 흡수만 계산할 수 있게 규정했거든요.
핀란드의 교훈: 자연도 한계가 있다 🌲
핀란드는 1990년대 초부터 거대한 자국의 숲을 믿고 2035년까지 넷 제로를 달성한다는 야심 찬 목표를 세우고 오랫동안 노력해 왔어요. 그런데 2010년대 들어 문제가 생겼죠. 벌목 증가, 이탄지*에서의 탄소 배출 증가, 광물 토양의 탄소 흡수력 감소 등으로 인해 숲의 탄소 흡수량이 급격히 줄어들었어요. 결국 다른 분야에서 탄소 배출을 43%나 줄였음에도, 숲의 탄소 흡수량이 크게 줄어들면서 전체 순 배출량은 1990년대 초 수준으로 되돌아가 버렸는데요. 심지어 2021년에는 핀란드의 숲이 탄소를 흡수하기는커녕 오히려 배출하는 상황까지 이르렀죠. 핀란드의 사례는 자연이 계속 이산화탄소를 제거해 줄 거라고 가정할 수 없다는 걸 보여줬어요. (*이탄지: 죽은 나무, 관목, 이끼 등이 물에 잠겨 썩으면서 형성된 탄소가 풍부한 토양)
진짜 넷 제로를 위한 세 가지 열쇠 🔑
그래서 과학자들은 "지질학적 넷 제로”라는 새로운 기준을 제시해요. 자연에 의존하지 말고, 인간이 만든 탄소에 대해 인간이 스스로 책임 지자는 거예요. 구체적으로 방법은 세 가지인데요. 1. 이산화탄소 배출 자체를 줄이고 없애기 – 근본적으로 탄소 배출을 막아야 해요 2. 자연의 탄소 흡수원을 보호하기 – 숲, 바다, 토양이 건강한 상태로 계속 탄소를 흡수할 수 있게 도와야 해요 3. 탄소 제거 기술에 투자하기 – 인간의 탄소 배출 시스템에서도 흡수원을 찾아야 해요. 우리가 스스로에게 솔직하게 책임지지 않는다면, 서류상으로는 넷 제로를 달성했다고 해도 지구는 계속 뜨거워질 수밖에 없을 거예요. |
|
|
두번째 이야기 by 새싹
🐾 미국 야생동물 정책에 큰 변화가 다가온다 📃
지난 3월 25일 미국 하원 천연자원위원회(U.S. House Natural Resources Committee)는 여러 법안에 대한 입법 청문회를 개최했어요. 이 중에는 멸종위기종법(ESA, Endangered Species Act)을 약화할 수 있는 법안도 포함되었어요. ESA는 미국 내 취약한 동식물에 대한 연방 차원의 보호를 보장하는 핵심 환경 법안이에요. ESA 개정 법안이 등장한 배경과 이에 대한 반응을 살펴볼까요?
🏗️ 산업 이익 vs 야생동물 보호 🦅
트럼프 대통령이 취임한 이후, 많은 공화당원이 ESA 변경에 대한 목소리를 내기 시작했어요. 그 중 브루스 웨스터먼 하원의원이 제안한 “ESA 개정 법안 2025”는 이 법이 대대적으로 보호해 온 멸종위기 종에 대한 여러 보호 장치를 해체하려는 내용이에요. 이 법안이 통과된다면 멸종위기종이 목록에 올라가거나 보호를 받을 때, 그 종에 대한 경제적 영향을 분석해야 해요. 또, 연방 정부가 멸종위기에 처한 동식물에 피해를 줄 수 있는 활동을 진행할 때 협의 절차를 수정해 경제적 이익을 우선시하는 방식으로 절차를 간소화하려는 의도가 숨어 있어요. 환경 단체들은 ESA 개정 법안에 강력히 반대하고 있지만 트럼프 행정부는 야생동물 보호보다는 산업 이익을 우선시하고 있어요.
멸종위기종 위원회: 신의 심판? 🧑⚖️
트럼프 행정부는 ESA 규제 절차 단축을 위해 거의 사용되지 않는 위원회인 “멸종위기종 위원회(Endangered Species Committee)”를 소환했어요. 이 위원회에는 경제 자문위원회, 환경 보호청(EPA), 해양대기청(NOAA) 등 7개의 연방기관 수장이 포함되어 있어요. 법원이 멸종위기종을 해치는 프로젝트를 막더라도 이 위원회가 찬성한다면 해당 프로젝트를 그대로 진행할 수 있어요. 이렇듯 위원회가 해당 종의 운명을 결정할 수 있기 때문에 멸종위기종 위원회는 “신의 심판(God Squad)”이라고 불리기도 해요.
생물다양성 위기의 심화 🌎
이전부터 법안의 개정이 시도되었는데 트럼프 대통령의 “더 많이 파고, 더 많이 파라(drill, baby, drill)”는 의제가 추진되고 있어서 예상보다 ESA에 대한 공격이 빠르게 진행되고 있어요. 멸종위기종 보호를 우선으로 하지 않고 에너지 프로젝트를 추진할 수 있는 새로운 법적 경로가 열리게 된다면 우리가 모르는 사이에 종의 멸종이 빠르게 다가올 거예요. 멸종위기종 보호는 생물다양성을 보전하고 인류를 포함한 모든 생물의 지속 가능한 미래를 보장하는 역할을 하므로 ESA 개정 법안 통과 여부가 중요해요.
|
|
|
세번째 이야기 by 땡이
💰 COP29 세션 파헤치기 #10. 원전을 바라보는 시각 💰
COP29에서 기후위기를 극복할 수단으로 자주 언급된 키워드는 ‘핵에너지’였어요. 탄소 중립 달성을 위한 현실적 대안으로서 원자력 발전의 역할과 에너지 안보 확보가 주요한 요인이 되기 때문이죠. 심지어 이탈리아와 노르웨이는 한때 원전을 철폐하기도 했었지만, 재도입을 적극적으로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어요. 현재 전세계 국가들이 원전을 바라보고 있는 시각을 함께 살펴볼까요?
점차 늘어나는 원전 📈
미국 파빌리온에서는 루마니아 원자력 발전소 Cernavoda3,4호기 건설을 위한 엔지니어링, 조달 ,건설 관리 계약의 서명 행사가 있었는데요. 현장에서는 정말 많은 인파가 몰려들어 이 순간을 함께 지켜 보았다고 해요. 그도 그럴것이, 이 프로젝트는 캐나다, 미국, 이탈리아 등 다양한 국가와의 협력을 통해 진행되며, 프로젝트가 완성되면 연간 1,100만 MW의 전력을 추가로 생산할 수 있기 때문이에요. 루마니아 에너지 장관은 뿐만 아니라, 1천만 톤의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줄일 수 있고, 1만 9천 여개의 고급 일자리를 창출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강조했어요. 세계 원자력 협회에 따르면, COP29에서 Net Zero Nuclear 에 참여하는 국가가 6개가 늘어 총 31개국이 되었다고 밝혔는데요. 이들은 원자력 발전을 청정에너지로 인정하며, 2050년까지 2020년 대비 원자력 발전 용량을 3배로 확대하기 위해 국가 간 협력을 약속했어요.
원전 반대에서 찬성으로? 😮
대부분의 국가는 풍력과 태양광과 같은 재생에너지 만으로는 급증하는 전력 수요를 감당하기 힘들어요. 지형, 기상기후, 자원 분포 등 다양한 제약이 있기 때문인데요, 그래서 적은 토지 사용으로 높은 발전 효율을 제공하는 소형 모듈형 원자로(SMR)가 산악 지형의 이탈리아, 노르웨이 등의 국가에게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어요. 1998년 ‘원전 모라토리엄(금지정책)’을 선언하며 원전을 금지해왔던 호주 또한, 5월 총선을 앞두고 야당의 주요 공약으로 원전 도입이 나왔고, 여론조사에서도 응답자의 61%가 원자력 발전을 지지한다고 밝혔어요. 이는 2011년 62%가 반대했던 결과와 비교하면 큰 변화에요. 트럼프 정부 또한, 바이든의 모든 정책을 중단 또는 재검토했지만, 원전만큼은 그대로 계승하여 적극 추진하고 있죠. 전세계적으로 원전 도입을 적극 검토하는 분위기네요.
확대의 과제: 비용, 안전, 사회적 합의 📚
그러나 원전 확대를 둘러싼 도전 과제도 적지 않아요. 원자력 발전소는 건설 비용이 많이 들고, 건설 기간도 길어 빠른 에너지 전환이 요구되는 시대의 필요에 부응하기 어렵다는 문제를 안고 있어요. 또한, 방사성 폐기물 처리 문제와 대형 사고에 대한 우려는 원전 확대의 주요 장애물로 남아 있죠. 한국의 경우, Net Zero Nuclear 이니셔티브에 따라 2020년 기준 23.25GW인 원전 설비 용량을 2050년까지 3배로 늘리려면, 매년 대형 원전 1기 이상의 건설이 필요하며, 이는 대규모 자본 투자와 첨예한 정치적 문제를 남겨요. 원자력은 분명 기후 위기 대응과 에너지 안보라는 두 가지 도전에 있어 강력한 도구로 여겨질 수 있지만, 동시에 우리가 간과해서는 안 될 복잡한 문제들을 동반하고 있어요. 궁극적으로, 원전의 확대 여부는 기술적 안전성과 경제적 효율성, 그리고 사회적 합의라는 삼박자가 맞아떨어질 때 비로소 타당성을 가질 수 있을 것 같아요.
|
|
|
이번 소식의 더욱 자세한 내용을 알고 싶다면?
|
|
|
완독하신 뉴스레터는 메일함에서 주기적으로 삭제하시기를 권장드립니다. |
|
|
보낸이. 기후변화청년단체GEYK
만드는 사람들
🌺봄날 🌏지킴 🍓제나 🐦오목이
🌱 새싹 🐋고래 💫은하
|
|
|
|
|